2025/04/17 3

망원경과 우주의 거리 – 천체물리학의 시작

인류는 망원경으로 우주를 보며, 스스로를 다시 보기 시작했다망원경과 우주의 거리 – 천체물리학의 시작목차1. 망원경의 발명과 우주 관측의 시작2. 천문학에서 물리학으로의 전환3.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법4. 스펙트럼과 별의 비밀5. 천체물리학이라는 새로운 과학1. 망원경의 발명과 우주 관측의 시작1609년, 갈릴레이는 인류 최초로 망원경을 하늘을 향해 들이댔다. 그는 목성의 위성을 발견하고, 금성의 위상이 변한다는 사실을 관측하면서 지동설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그전까지 우주는 인간의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신성한 세계였지만, 망원경은 그것을 관측 가능한 대상, 즉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내렸다. 망원경의 발전은 곧 우주에 대한 물리적 이해로 이어졌다. 더 멀리, 더 선명하게 보게 되면서 우리..

물리학 2025.04.17

중력이 곡선을 만든다 – 일반상대성이론의 구조

중력은 끌어당기는 힘이 아니라, 시공간의 곡률이다중력이 곡선을 만든다 – 일반상대성이론의 구조목차1. 뉴턴 중력관의 한계2. 아인슈타인의 새로운 질문3. 시공간의 곡률로서의 중력4. 실험으로 검증된 이론5. 오늘날의 우주와 일반상대성이론1. 뉴턴 중력관의 한계17세기 뉴턴은 만유인력 법칙을 통해 지구상의 물체부터 행성의 궤도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중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혹은 왜 작용하는지를 설명하지는 못했다. 또 다른 한계는 중력이 즉시 작용한다는 전제였다. 이는 빛보다 빠른 속도로 정보가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특수상대성이론의 틀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개념이었다.2. 아인슈타인의 새로운 질문아인슈타인은 중력이 단순한 힘이 아니라, 시공간의 성질에서 비롯된 현상일 수 있다는..

물리학 2025.04.17

측정할 수 없는 확실성 – 불확정성 원리와 파동함수

측정의 한계를 통해 드러나는 자연의 깊이측정할 수 없는 확실성 – 불확정성 원리와 파동함수목차1. 양자역학의 문을 열며2. 고전 물리학의 예측력과 한계3.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4. 파동함수와 확률의 해석5. 양자적 현실과 철학적 전환1. 양자역학의 문을 열며20세기 초, 과학은 새로운 전환점에 서 있었다. 원자와 전자의 세계는 고전 물리학의 규칙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들로 가득 차 있었고, 그 틈을 메우기 위해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양자역학이다. 양자역학은 전통적인 인과율과 연속성의 개념을 넘어서, 확률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자연 법칙의 새로운 틀을 제시했다. 이는 단지 수학적 정교함을 넘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자체를 뒤흔드는 혁명적인 접근이었다.2. 고전 물리학의..

물리학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