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망원경으로 우주를 보며, 스스로를 다시 보기 시작했다망원경과 우주의 거리 – 천체물리학의 시작목차1. 망원경의 발명과 우주 관측의 시작2. 천문학에서 물리학으로의 전환3.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법4. 스펙트럼과 별의 비밀5. 천체물리학이라는 새로운 과학1. 망원경의 발명과 우주 관측의 시작1609년, 갈릴레이는 인류 최초로 망원경을 하늘을 향해 들이댔다. 그는 목성의 위성을 발견하고, 금성의 위상이 변한다는 사실을 관측하면서 지동설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그전까지 우주는 인간의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신성한 세계였지만, 망원경은 그것을 관측 가능한 대상, 즉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내렸다. 망원경의 발전은 곧 우주에 대한 물리적 이해로 이어졌다. 더 멀리, 더 선명하게 보게 되면서 우리..